Business
IoT 인증
  • 정보 보안 법령 및 규제 (EU, US)
    구분 인증 명칭 적용 대상 및 특징 인증기관 인증 진행 예상 비용 및 기간 인증 전략
    한국 TTA 보안 인증 CCTV, IoT 기기 등 공공기관 납품 제품 대상
    - 보안, 성능, 호환성 심사
 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(TTA)
    - 2023년 3월부터 공공 CCTV 설치 시 의무화
    KS마크와 유사한 기기 기능 표준.
    당사는 취득할 필요없음
    한국 KISA IoT 보안 인증
    (Basic)
    IoT 기기 보안성 평가
    - 정보통신망법 근거 자율 인증
   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
    - 싱가포르 CSA, 독일등과 상호인정 추진
    기기에 대한 보안 인증. 이화트론(NVR,CCTV), 힐링나인(로봇) 인증 진행 예정(계약서) 3천만원, 4개월 * 기기에 대해 자체 보안 분석 후 조치 사항 보고
    * 자사 IoT 솔루션 탑재 후 보안성 평가 항목에 맞게 설정
    한국 국정원 보안기능 확인서 공공기관 납품용 보안 제품
    - CC 인증 대체 가능
    국가정보원(NIS) 2025.04.01(NVR,IP Camera)
    - KCMVP, SES 연계
    기기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IoT인증
    : CC인증으로 대체 예정
    8천만원, 4개월
    한국 CC 인증
    (ISO/IEC 15408/레벨 3)
    보안 제품의 국제 상호인증
    - EAL1~EAL7 수준 평가
    국가정보원 IT보안인증사무국
    - CCRA 회원국 간 상호인정 가능
    현재 서류 준비중.
    3/4분기중 취득 예정
    8천만원, 6개월 * 기본 서류 준비 후 평가 접수
    * CC 인증 관련 컨설턴트 단기 고용 후 문서 작업 진행
    * 보완 사항에 대해 자체 점검 후 소스코드 업데이트
    EU Cyber Resilience Act
    (CRA)
    디지털 요소 포함된 전 제품
    - 보안 업데이트, 취약점 관리 요구
    EU 집행위원회
    - ENISA가 인증 체계 운영
    2026년초 인증 진행 예정.
    인증 발효: 공장 26' 09. 제품 27' 12. 기기에 대한 사이버 보안 인증.
    인증에 대한 규정, 프로세스 확정 안됨.
    확정 시 이화트론 기기로 진행 예정
    2~3억, 6~9개월
    미국 U.S. Cyber Trust Mark 소비자용 IoT 전 기기 - NIST 기준 기반 보안 라벨링 미국 연방통신위원회(FCC) - UL Solutions등 11개 인증기관 지정 2025년 하반기 인증 진행 예정. 기기에 대한 사이버 보안 인증. 인증에 대한 규정, 프로세스 확정 안됨. 확정 시 이화트론 기기로 진행 예정 1~2억, 6~9개월
    영국 Lloyd’s Register Cyber
    Resilience classification(IACS UR E27)
    선박 내 사이버보안 솔루션에 대한 사이버복원력 인증 로이드 인증원 (LRQA) 2025년 하반기 인증 진행 예정.
    영국 본사에서 진행시 더 큰 비용으로, 싱가포르 지사에서 사이버 복원력 인증 진행 예정
    1~3억, 4~8개월 * CC인증 준비 서류를 기반으로 대응
    * 한국선급에서 진행하는 사이버복원력 인증 서류 기반으로 사전 준비

카탈로그

자료 다운로드

법령

자료 다운로드

보안 솔루션

다운로드

TOP